본문 바로가기

민물 전층낚시 이론

한국 전층낚시의 분류(일본 낚시 용어와 비교) (저부력찌, 하우스낚시, 붕어낚시, 내림낚시, 낚시찌, 찌맞춤 , 내림찌, 낚, 전층찌, 소꼬즈리 , 전층낚시 , 혹한기낚시, 공방림, 저부력수제찌, ..

#전층낚시의 분류


####### 수심층에 의한 분류 #######


# 표층낚시(가츠케).

표층으로부터 50cm전후의 낚시


# 미터낚시(아사타나).

1m 내외의 낚시


# 중층낚시(주즈리,정주)

1m 이상에서 부터 약 3m정도까지의 낚시

1본반 = 1.5m / 2본 = 2m


# 심층낚시(심주)

3m이상의 깊은 수심층, 혹은 바닥에서 1m전후의 깊은 수심층 낚시


# 바닥층낚시(소꼬즈리).

초기에 한 바늘이라도 바닥에 닿는 형태의 낚시를 총칭함





####### 떡밥 사용에 의한 분류 #######


떡밥 사용에 의한 분류는 세트 낚시와 콩알낚시 정도의 큰 분류 안에서 각 떡밥의 이름에 따라 엄청나게 세분화된 낚시가 존재함으로

위의 큰 두가지 분류정도를 기억하는 것으로 윤곽을 잡는 것이 좋겠다.


# 세트 낚시

집어용 떡밥과 입질용 떡밥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낚시


# 콩알 낚시

집어용과 입질용을 구분하지 않고 동시에 집어와 입질을 볼 수 있게 콩알로 만들어 사용하는 낚시


# 우동낚시

세트낚시중 입질용으로 우동을 사용하는 낚시


# 도로로 낚시

해조류를 얇게 썰어서 먹이용으로 사용하는 낚시



####### 제이킨(필자)의 한국 전층낚시의 분류 #######



# 띄울 낚시 : 바늘이 수중에 떠 있는 상태의 낚시

        ## 표층낚시

        ## 미터낚시

        ## 중층낚시

        ## 심층낚시

       

# 안착 낚시 : 낚시하는 바늘이 모두 바닥에 닿아 있는 낚시

       ## 양바늘 세우기 낚시

       ## 한바늘 세우기 낚시

       ## 양바늘 눕히기 낚시

       ## 편납 닿기 낚시


# 혼합 낚시 

: 채비의 투척후 안착 초기에 한 바늘이라도 떠 있거나 나중에 한 바늘이라도 뜨는 낚시, 다시말해 외바늘의 경우에도 초기에 목내림을 함으로 바늘이 바닥에 닿아 있다가 밥이 풀림으로 뜬다든지 양바늘을 사용할 경우에도 적어도 한 바늘이 초기에 뜨던지 아니면 목내림 후 한바늘 이상이 뜨는 경우의 낚시 즉 띄울 낚시와 안착 낚시의 혼합형인 경우의 낚시를 지칭하는 말.

       ## 긴목줄 바늘 세워 닿았다가 양바늘 띄우기 낚시

       ## 긴목줄 바늘 눞혀 닿았다가 양바늘 띄우기 낚시

       ## 한 바늘 세워 닿기 낚시

           (주로 윗 바늘에 가벼운 입질용 밥을 단다 -- 밥의 흐름에 의한 떠오름 없으나 투척에 의해 끌려 오게 할 수도 있음)

       ## 한 바늘 눕혀 닿기 낚시

           (주로 윗 바늘에 가벼운 입질용 밥을 단다 -- 밥의 흐름에 의한 떠오름 없으나 투척에 의해 끌려 오게 할 수도 있음)

       ## 양바늘 세워 닿았다가 양바늘 띄우기 낚시

           (단차가 적고 비교적 중부력 이상의 찌를 써야 가능하고 당연히 밥의 무게가 좀 나가야 쉽게 연출된다.)

       ## 한 바늘 눕히고 한 바늘 세워 닿았다가 양바늘 띄우기 낚시

           (단차가 너무 적지않고 비교적 중부력 이상의 찌를 써야 가능하고 당연히 밥의 무게가 좀 나가야 쉽게 연출된다.)



######## 일본 낚시의 용어 이해 #######


시타바리톤톤 : 말 그대로 아랫 바늘이 바닥에 닿아 있는 경우 즉 한 바늘 닿기를 의미한다.

편 즈라시 : 한쪽 바늘만 눕혀놓는 낚시를 의미한다

대편즈라시 : 한쪽 바늘만 눕혀 놓는데 크게 눞히는 낚시 즉 긴 목줄만 즈라시를 주는데 짧은 바늘이 바닥에 접촉되는 싯점까지 즈라시를 많이 주는 기법

세미단차낚시 : 단차 낚시중 양 바늘의 사이를 비교적 적게 주고 두 바늘을 안착 시킨 후 짧은 바늘을 떠 오르게 함으로 긴 바늘에 입질을 유도하는 낚시

밸런스노소꼬즈리 : 두 바늘이 모두 바닥에 닿는 낚시,  목줄의 경사를 많이 준 경우라기보다 비교적 목줄이 양바늘의 단차에도 불구하고 잘 펴져있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우와바리톤톤 : 윗 바늘 닿기 낚시 즉 양 바늘이 모두 바닥에 닿아 있는 경우의 낚시를 의미한다.

공즈라시 : 모두 눕혀놓는 기법 즉 긴 목줄과 잛은 목줄을 모두 즈라시를 주는 기법

대공즈라시 :  모두 눞혀놓는 기법인데 눟히는 폭을 크게 주는 것 즉 두개 목줄의 즈라시를 크게 주는 기법

즈라시베타 : 편납이 바닥에 접촉되는 시점까지 아주 길게 목줄 두개를 즈라시주는 기법 즉,  즈라시 폭을 아주 크게해서 연출

오모리베타 : 편납을 바닥에 완전히 접촉시키는 기법, 우리나라의 외통, 중통 낚시와 유사한 기법


슬로프낚시 : 목줄에 경사를 줘서 입질을 유도하는 낚시

단차낚시 : 바늘의 단차를 줘서 하는 낚시

단저, 단소꼬, 단차소꼬즈리 : 단차를 줘서 하는 낚시중 바닥층에서 하는 낚시



#######고야마 게이조씨의 분류 #######

1. 바닥층 낚시(소꼬즈리)

2. 상층 양콩알낚시(아사다나 양당고)

3. 상층 세트낚시(아사다나 세트)

4. 제등낚시(쵸친쯔리)



참고. 일본낚시의 대략적인 현황


관동 : 강수량이 풍부하고 따뜻한 지역 -- 양어장 문화가 발달

관서 : 야생 저수지가 많고 기온이 낮다 -- 소꼬즈리가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