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질 영상

중층 낚시의 붕어 수중 영상, 붕어의 수중 입질과 찌의 움직임(#저부력찌 #하우스낚시 #붕어낚시 #내림낚시 #낚시찌 #찌맞춤 #내림찌 #낚시대 #낚시터 #중층낚시 #수제찌 #전층찌 #소꼬즈리 #전..

얼마나 많은 가짜 입질이 있는가?
 
실제 낚시에서는 붕어가 저렇게 많아도 입걸림으로 연결되는 흡입은 그들의 먹이활동의 흡입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들은 쉴사이 없이 뻐끔거리며 집어제를 흡입하지만 정작 바늘달린 콩알은 잘 먹지 않는다.
물의 색을 보면 분명 수온이 차가운 것 같지는 않다. 즉 겨울이나 초봄 혹은 늦가을은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엄청난 활성도를 보일 시기이다ㅣ.
사실 콩알에 접근하는 그들의 경계심을 보면 활성도가 엄청난 시기임을 잘 알 수 있다.
가짜입질....
그들이 다가오면 바닥낚시에서의 예신이 있게 마련이다.
뭔가 계속 꿀러덩 거린다...
그런데 강력한 입질이 없다는 것은 밥의 흐름이 좋지 않을 경우 즉 밥의 경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 크기도 문제일 것이다. 붕어는 가만히 달려있는 먹이에는 쉽게 달려들지 않는다. 그리고 학습된 관리형 낚시터일 경우는 더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흘러내리는 집어제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쉽게 푼다... 하지만 받아먹다가도 바늘달린 콩알 가까이 올라가며 먹다가도...바로 고개를 돌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쯤되면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흐름과 크기 그리고 단차......
 
밥이 풀어져서 흘러 내리든 아니면 밥 자체가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듯 목내림을 하든 붕어는 자연스런 흐름에 반응을 한다.
 
프로들의 말은 절대 참고로만 들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꼭 검증해 봐야 한다.
활성도가 좋은 시기에 긴 단차와 양 콩알은 사실 역효과가 나기 쉽다.
 
밥의 위치는 왜 중요한가?
붕어를 아래로 줄 세우는 것이 왜 중요한가?
아무리 주걱턱인 떡붕어일지라도 바늘과 수평에 가까운 거리에서는 강력한 입질에도 찌가 분명히 그 흡입을 읽어내지 못한다.
수없는 고수들이 중층은 수심을 낚는 것이라 하지 않았는가?
그들이 아무리 쉽게 오르락 내리락 하는 녀석들이지만 분명한 것은 줄 세울 줄 아는 조사와 그냥 열심히 하는 조사는 분명 그 입걸림 확률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1렬 종대로 헤쳐모여~~~~^^
 
챔질의 중요성도 엄청나다...
사실 그들의 바늘 흡입과 뱉는 속도는 엄청나다.
그들은 물을 흡입하고 또한 물을 내 뱉는다. 흡입시에는 작은 폭의 움직임이 생기고 다음 이어지는 뱉는 동작에 찌가 크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
전광석화와 같은 챔질!
물론!!!!! 그 전광석화와 같은 챔질이 입걸림으로 연결되려면 밥을 현명하게 써서 찌의 움직임 자체가 정확한 흡입으로 연결되는 확률을 높혀야 된다. 
물론! 아무리 그 확률을 높혀도 
챔질이 느리면 무조건 뱉은 바늘을 챔질하는 꼴이 된다.
 
붕어는 한번 헛챔질 하면 활성도가 좋아도 깜짝 놀라서 달아나 버린다. 물론 곧 다시 모이겠지만....
결국 걸든 걸지 못하든 큰 챔질에는 붕어가 일정부분 달아난다는 소리다.ㅣ
그러니 무조건 입걸림을 성공시켜야 한다.ㅣ^^
 
 
 

 

#저부력찌 #하우스낚시 #붕어낚시 #내림낚시 #낚시찌 #찌맞춤  #내림찌 #낚시대 #낚시터 #중층낚시 #수제찌 #전층찌 #소꼬즈리  #전층낚시  #혹한기낚시 #공방림  #저부력수제찌 #낚시 #낚시터 #낚시줄 #낚시대 #흡챔낚시 #림찌 #林찌 #제이킨_낚시 #jakin_fishing,